1) 연계 데이터 구성하기
- 연계 요구사항 분석
- 분석 문서 : 시스템 구성도, 응용 애플리케이션 구성,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 분석 및 정의 기법/도구 : 인터뷰, 체크리스트, 설문조사, 델파이조사, 연계 솔루션 비교
* 델파이 조사 : 시스템 아키텍처/ 연계 전문가에게 자문
* 연계 솔루션 : EAI, ESP, OPEN API 등
- 통합 구현의 개념도 :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솔루션 방식, 송수신 모듈 구현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함
* 송수신 방식은 직접연계 방식과 간접연계 방식으로 구분
* 직접 연계(점대점 방식, Point to point) : DB Link, JDBC, API 등
* 간접 연계 : EAI, ESB, 소켓 등
- 통합 구현 구성
- 송신 시스템과 송신 모듈 : 일반적으로 연계 솔루션이 적용될 경우 송신 모듈은 데이터 생성 처리만 구현
- 중계 시스템 : 외부 시스켐간의 연계시 적용되는 아키텍처
-> 송신테이터의 오류처리
->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 또는 매핑
- 수신 시스템과 수신 모듈 : 데이터 정제, 수신 현황 및 오류처리, 데이터 반영 등 모니터링
- 연계 데이터
- 네트워크
-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시스템 간 연계하려는 정보를 상세화하여 범위의 항목을 정의
-> 일반적으로 연계 정보가 활용되는 수신 시스템 기준으로 적용 및 변환
-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코드로 관리되는 항목을 변환
-> 송신 시스템 코드를 수신 시스템 코드로 매핑
-> 송수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코드를 통합하여 표준화한 후 변환
- 식별자 : 송신된 정보가 수신 시스템의 어떤 데이터에 해당되는지 -> 식별키
- 변경 구분 : 송신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 반영하기 위해 수신 시스템의 테이블에 추가, 수정, 삭제한 데이터인지 식별해주는 구분 정보
-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 : 태그, 항목 분리자(딜리미터), JSON 사용 등
- 태그 vs JSON
'전공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 3. 통합 구현(3) /연계모듈/EAI/ESB/SOAP (0) | 2021.04.09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3. 통합 구현(2) /연계 매커니즘/데이터보안 (0) | 2021.04.09 |
정보처리기사 실기 - 2. 데이터 입출력 구현(2) /인덱스/반정규화 (0) | 2021.04.03 |
정보처리기사 실기 - 2. 데이터 입출력 구현(1) /정규화 (0) | 2021.04.03 |
정보처리기사 실기 - 1. 요구사항 확인(3) /UML/유스케이스/다이어그램/디자인 패턴 (0) | 202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