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하기
•연계 모듈 구현 환경 구성과 개발
- EAI/ESB 방식
-> DBMS의 트리거를 JAVA와 같은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함 -> 응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 or 연계 테이블을 연계 파일로 변경
-> 연계 데이터 처리를 위해 테이블 방식 또는 파일 방식으로 운용
-> 전송이나 전송 이력을 기록하는 기능을 구현할 필요 없음
-> 데이터 변환, 운영 DB에 반영 시 발생하는 데이터 오류에 대한 사항을 기록 모듈 구현
-> 기존 연계를 위한 DB가 운영중인 경우
- 연계 목적에 따라 분리한 연계 사용자 계정 생성
- 운영 DB의 사용자와 연계를 위한 사용자는 생성되는 스키마의 목적이 다르므로 물리적 및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관리
-> 연계를 위한 테이블 생성 : 연계 테이블, 로그 테이블, 매핑 테이블, 오류코드 테이블 등 구현
-> 연계 응용 프로그램 구현 방식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오브젝트인 트리거를 활용,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프로그램 언어 이용
-> 연계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운영 DB에 반영 할 시 연계 테이블간 데이터의 생성 순서 및 반영 순서, 즉 선후 관계를 확인하여 처리해야 함
- 웹 서비스 방식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 SOAP(Simple Object Acess Protocol) : XML 기반의 메세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 -> HTTP를 통해 이루어짐
-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WSDL을 등록, 검색하기 위한 저장소로 공개적으로 접근 검색이 가능한 레지스트리
* WSDL(Web Service Description Langguage) : 웹 서비스명, 제공 위치, 메세지 포맷, 프로토콜 등 웹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기술한 파일, XML 형식으로 구현
- 연계 모듈 구현 환경 구축 절차
-> 웹 서비스 방식은 EAI/ESB 방식과는 달리 실제 전송이나 전송 이력에 대한 기록 및 모니터링 기능을 별도로 구현
-> 송수신 파일 생성 위치 및 파일명 정의
-> 송신 파일을 XML 형식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 구현
-> SOAP 기반 전송 방식
•연계 테스트 및 검증
구축된 연계 시스템과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검증하는 활동
- 연계 테스트 구간
일반적으로 송신 시스템의 운영 DB에서 연계 데이터를 추론 및 생성하여 수신시스템의 운영 DB에 반영하는 구간의 테스트를 의미
- 연계 모듈 테스트 케이스 작성 및 명세화
->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 연계 테스트 케이스는 연계 테이블(파일) 단위로 작성
-> 송수신용 연계 프로그램의 기능 위주 결함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상세한 수준의 케이스 작성
-> 단위 케이스는 송수신 절차의 연결 흐름을 확인하는 내용으로 작성
- 연계 테스트 수행 및 검증
- 연계 테스트 환경 구축 : 실제 운영환경과 동일하게
- 연계 테스트 수행 : 송수신용 연계 응용 프로그램간의 단위 테스트 수행, 단위테스트가 오류 없이 완료되면 작성한 테스트 케이스대로 데이터 추출, 수신 측 데이터 반영 과정의 연계 테스트 수행
- 연계 테스트 수행 결과 검증 : 통합 테스트 시 검증은 송신 시스템에서 송신한 데이터가 수신 시스템의 운영 시스템에 유효한 값으로 검색이 된다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어 처리된 것
'전공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 4. 서버 프로그램 구현(2) /DTO/DAO/개발보안/cron/crontab (0) | 2021.04.15 |
---|---|
정보처리기사 실기 - 4. 서버 프로그램 구현(1) /개발환경/아키텍처/단위테스트 (0) | 2021.04.15 |
정보처리기사 실기 - 3. 통합 구현(2) /연계 매커니즘/데이터보안 (0) | 2021.04.09 |
정보처리기사 실기 - 3. 통합 구현(1) /연계데이터/태그/JSON (0) | 2021.04.09 |
정보처리기사 실기 - 2. 데이터 입출력 구현(2) /인덱스/반정규화 (0) | 202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