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에 작성된 글입니다.
구글 블로그 같은 경우는 굉장히 척박한 환경에 놓여있습니다. 워낙에 외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블로그이다 보니 주로 해외 블로그 운영 목적으로 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하지만 전 그냥 구글 블로그가 좋아서 어떻게든 검색 유입량을 늘리려고 여러가지를 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rss 등록이 아닐까 합니다.
먼저, rss란?
업데이트가 빈번한 웹사이트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XML 기반의 콘텐츠 배급 포맷을 말합니다. (출처: 두산백과)
때문에 네이버같은 검색 엔진이 블로그의 rss 정보를 긁어와서 검색 결과에 보여주게 하는 겁니다.
먼저 구글 블로그 같은 경우는 두 가지의 rss 피드가 있습니다.
하나는 블로그이름.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또 다른 하나는 블로그이름.blogspot.com/atom.xml 로 자체 사이트맵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둘 중 하나의 사이트맵을 복사해서 각 포털 사이트의 검색엔진에 등록해보도록 합시다.
1. 네이버 웹마스터 등록하기
첫번째로 가장 유입량이 많은 네이버에 블로그 rss등록을 하는 겁니다. 예전에는 검색어 등록을 하고 고객센터에서 블로그 등록을 하면 됬지만, 구글이 웹마스터를 서비스하는 것을 알고 네이버도 그새 웹마스터 서비스를 제공하더군요.
네이버에 '웹마스터' 라고 검색하시거나 혹은 아래 링크
http://webmastertool.naver.com/
를 클릭하시면 네이버 웹마스터로 진입하게 됩니다. 로그인을 하신 다음에.
하단의 사이트 추가를 눌러주도록 합시다.
그 후,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rss피드 주소가 아닙니다. 블로그 주소입니다.
그리고 확인을 누르시면서 계속 진행하도록 합시다.
사이트 소유 확인에서는 위와 같이 HTML 태그에 체크해주시고 나오시는 메타태그를 복사해줍니다.
그 후 복사한 메타태그를, 구글블로그 대시보드 -> 템플릿 -> HTML편집 -> <head> 부분 아래에 붙여넣기 합니다. 저장을 하시고,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에서 확인을 누르시면 소유자확인이 완료될겁니다.
사이트 목록에 보시면 블로그 주소가 하나 등록이 됬습니다. 클릭 한 후 계속 진행해보도록 합니다.
그 후, 요청 탭의 rss제출을 클릭, 위와 같은 박스안에 복사한 rss주소를 입력후 확인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혹시 모르니 사이트맵도 제출하도록 합시다. 요청 탭의 사이트맵제출을 누르신 후 위와 같은 박스안에atom.xml을 써넣어주시면 됩니다.
그 후, 구글 블로그 대시보드 -> 설정 -> 검색 환경설정에서 맞춤 robot.txt 설정을 합시다.
'예'를 클릭 후 나오는 박스안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 후 저장합니다.
User-agent: Yeti
Allow: /
이렇게 네이버 검색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앞으로 수일내에 네이버 크롤러봇이
돌아다니면서 자동적으로 사이트맵 승인이 완료됩니다.
2. 다음/네이트 검색 등록하기
https://register.search.daum.net/index.daum
위 링크로 들어가거나 혹은 다음에 검색등록이라고 검색하시면 사이트가 하나 나옵니다.
네이트는 다음이 인수한 뒤로 다음 검색결과를 반영하니 다음 하나에만 등록하시면 됩니다.
블로그 rss등록을 선택 후 url 주소와 rss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굉장히 간단하네요.
3. ZUM(줌) 검색 등록하기
포털 사이트 줌에 등록하는 방법 입니다.
http://help.zum.com/submit/register
위 링크를 클릭하거나 직접 검색해서 들어가도록 합시다.
굉장히 간단합니다. 나오는 양식을 입력하시면 되고 rss주소도 필요없습니다.
4. 야후/Bing/MSN 검색 등록하기
야후 검색엔진을 MS사에서 인수했더군요.
뭐 MSN 역시 MS 자체 포털 사이트이고, 때문에 Bing 한 곳에만 등록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www.bing.com/toolbox/webmaster?mkt=ko-kr
위 링크로 들어가신다음에 먼저 로그인을 해주세요. 그 후,
빙도 네이버와 마찬가지입니다. 먼저 사이트 주소를 추가해 주세요. 그 후, 사이트 목록에 뜬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클릭 하신 후,
위와 같이, 옵션 2에 있는 메타태그를 아까처럼 블로그 html의 <head>
아래에 붙여넣기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 다음 SUBMIT A SITEMAP을 누르고
나오는 박스안에 RSS주소를 입력해주시면 되겠습니다.
5. 구글 웹마스터 등록하기
그 다음, 마지막으로 갓 구글에 등록을 해보도록 합니다.
구글에 웹마스터라고 검색 혹은 아래 링크를 따라와 주세요,
https://www.google.com/webmasters/tools/home?hl=ko
속성 추가를 클릭하신 다음 나오는 팝업창에
사이트 URL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rss가 아닙니다.!)
네, 똑같은거 또 합니다. 위 메타 태그를 복사한 후 자신의 블로그 HTML의 <HEAD>
아래에 붙여넣습니다.
그헐게 진행하셔서 소유자 확인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 다음 사이트 목록에 뜬 자신의 블로그를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왼쪽 탭에서 크롤링 -> Sitemaps -> Sitemap 추가/테스트를 차례대로 선택해줍니다.
그 다음 뜨는 팝업에 rss주소를 붙여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구글에도 사이트맵을 제출하게 됬는데 끝난게 아닙니다.
구글은 한 가지 더 해야 하는데,
https://www.google.co.kr/intl/ko/add_url.html
위 링크를 들어가 보시면,
위와 같은 url 등록 화면이 뜹니다. 구글 블로그는 굳이 하지 않아도 되나, 티스토리
같은 경우에는 위 사이트에도 한번 더 등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여긴 rss가 아닌 그냥 url주소를 입력해주시면 되겠습니다.
'IT > 블로그 관련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차트 - 네이버 블로그 분석, 키워드 확인하기 (0) | 2021.05.30 |
---|---|
네이버 블로그 구글 검색 등록하기 ( 키자드 없이 ) (20) | 2021.05.27 |
모바일로 애드포스트 수익 확인하기 - Creator Advisor (0) | 2021.05.26 |
구글 블로거(Blogger) 어플, 편집시 이미지 사이에 글 넣기 (0) | 2021.05.25 |
블로그스팟 상단 Navbar 없애는 법 (0) | 2021.05.25 |